유튜브에서 단축키를 사용해 다양한 기능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가? 앞으로/뒤로 가기, 재생/일시정지 등은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이다. 그러나 배속 조절, 전체 화면, 음소거 등도 유튜브 상에서 단축키를 이용해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.
어떤 단축키들이 있을까
유튜브 페이지 아무곳에서나 ?를 입력하면 어떤 단축키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. 여기서 말하는 물음표(?)는 Shift(쉬프트) 키와 /(슬래시)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을 말한다. /(슬래시) 키만 누르면 다른 기능이 실행된다.
재생 관련 단축키
재생 관련 단축키는 7가지가 있다.
k(Space Bar) : 재생/일시중지. 스페이스 바(Space Bar)로도 대체 가능하다. 다만 영상 외의 부분을 클릭했을 때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스크롤이 되어 불편할 수 있다. k를 사용하면 스크롤이 되지 않아 편리하다.
j(←) : 10초 되감기(이전으로 가기). 10초 이전으로 돌아가는 기능이다. 왼쪽 화살표를 사용해도 된다. 이 역시 좌측으로 스크롤이 될 수 있어 j로 대체해 사용할 수 있다.
l(→) : 10초 앞으로 건너뛰기(앞으로 가기). 10초 후로 영상을 이동한다. 오른쪽 화살표를 사용해도 된다. 화살표를 사용하는 경우 스크롤이 될 수 있어 l로 대체해 사용 가능하다.
위의 세 가지 기능은 j, k, l을 사용한다. 키보드에 손을 올려보면 연달아 나열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Shift + P: 이전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이다.
Shift + N : 다음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이다.
, (콤마, 쉼표) : 일시중지 상태에서 이전 프레임으로 이동하는 기능이다. 영상 시점을 미세하게 뒤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사용한다.
. (마침표) : 일시중지 상태에서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하는 기능이다. 영상 시점을 미세하게 앞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사용한다.
자막 관련 단축키
자막을 띄우거나 자막 크기 조절 등을 할 때는 아래의 단축키를 사용한다.
c : 자막 사용/중지. 동영상이 자막을 지원해야 사용할 수 있다.
o : 텍스트 불투명도 수준을 조정한다.
자막을 선명하게 한 경우자막을 투명하게 한 경우
w : 자막 창의 불투명도를 조절한다. 자막 창 영역 전체가 투명해지거나 영역이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.